동북아의 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동북아의 문

메뉴 리스트

  • HOME
  • TAG
  • GUEST BOOK
  • 전체보기 (940)
    • 소개 (3)
    • 불철주야 (204)
    • 아침브리핑 (200)
    • NK투데이 (30)
    • 채널615 (78)
    • 동북아 논평 (42)
    • 토론게시판 (342)
    • 자료실 (19)
    • 10전11기 (9)
    • 이미지 (13)

검색 레이어

동북아의 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한미합동군사훈련

  • 한미군사훈련으로 본 반전평화운동의 필요성

    2012.03.15 by 붉은_달

  • [전쟁·평화②]TS 부활, 기어이 전쟁인가

    2012.02.03 by 붉은_달

  • 키리졸브 훈련, 문제없다고?

    2011.03.02 by 붉은_달

  • 제2의 천안함 사태 부르는 키리졸브 훈련

    2011.02.18 by 붉은_달

한미군사훈련으로 본 반전평화운동의 필요성

이동훈 우리사회연구소 객원연구원 한미합동군사훈련에 대한 북한의 강력한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4일 북한은 ‘이번 전쟁연습책동은 단순한 군사훈련이 아니라 실전으로 넘어가기 위한 위험한 불장난‘이라는 입장을 발표하였다. 이후 2월 25일 북한 국방부 대변인 성명에서는 “우리 군대와 인민은 민족반역의 무리들과 내외호전광들의 새 전쟁도발책동을 우리 식의 성전으로 짓부셔버릴 것이다.”며 강경대응을 천명했다. 성명만 발표하는 것도 아니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2월 26일에 연평도를 포격했던 인민군 4군단 사령부에 전격적으로 방문하였다고 보도하였다. 그리고 "적들이 우리의 자주권이 행사되는 조국의 바다에 0.001㎜라도 침범한다면 원수의 머리 위에 강력한 보복타격을 안..

토론게시판 2012. 3. 15. 09:00

[전쟁·평화②]TS 부활, 기어이 전쟁인가

3월에 예고된 쌍룡훈련은 팀스피리트 훈련이 23년 만에 부활한 것으로 평가된다. 여기에 사실상 팀스피리트 훈련의 연속인 키리졸브 훈련까지 겹쳐진다면 3월은 <전쟁의 달>로 기록될 것이다. [전쟁·평화②]TS 부활, 기어이 전쟁인가 동북아의 문 http://namoon.tistory.com 귀신 잡는 해병 <귀신 잡는 해병>이란 말은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 말은 해병의 강한 전투력을 비유한 것으로 뉴욕헤럴드트리뷴의 마거릿 히긴스 기자가 한국전쟁 당시 통영 상륙작전을 보도한 기사 <귀신 잡는 해병(Ghost-catching Marines)>을 쓰면서 생긴 별칭이다. 흔히 해병대 하면 고된 훈련, 상륙 작전, 제대 후에도 이어지는 공고한 선후배 관계를 떠올린다. 혹은 작년에 입대한 김태평(현빈..

불철주야 2012. 2. 3. 09:16

키리졸브 훈련, 문제없다고?

만약 북한이 이명박 유고시 한국점령을 준비하는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을 중국과 한다면? 20만 대군이 동원되고 첨단무기가 총출동한다면? 그래도 연례훈련이니까 무시할 수 있을까? 상식적으로 판단해보자.

동북아 논평 2011. 3. 2. 14:13

제2의 천안함 사태 부르는 키리졸브 훈련

남북 군사실무회담 결렬이 이달 말 열릴 키리졸브 훈련과 관련 있다고 알려지면서 이 훈련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한은 지난 10일 공보를 통해 남측이 2월 말에 고위급 군사회담을 개최할 것을 주장했다고 폭로했고 한국의 문상균 대령(실무회담 남측 수석대표)도 이를 인정했다. 2월 말에 키리졸브 독수리 훈련이 있기 때문에 애초에 고위급 군사회담을 할 수 없는 상황임에도 남측이 이 시기를 고집하여 사실상 회담을 결렬시켰다는 게 북한의 주장이다. 아니나 다를까 한미연합사령부는 실무회담이 결렬된 후인 지난 15일 오전 한미연합훈련인 키리졸브 훈련을 2월 28일부터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한미연합사는 이 훈련에 미 항공모함, 미군 병력 만2800명, 한국군 20만 여명이 참가하며, 3월 10일까지 진행된다고..

불철주야 2011. 2. 18. 02:37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동북아의 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