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의 문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동북아의 문

메뉴 리스트

  • HOME
  • TAG
  • GUEST BOOK
  • 전체보기 (940)
    • 소개 (3)
    • 불철주야 (204)
    • 아침브리핑 (200)
    • NK투데이 (30)
    • 채널615 (78)
    • 동북아 논평 (42)
    • 토론게시판 (342)
    • 자료실 (19)
    • 10전11기 (9)
    • 이미지 (13)

검색 레이어

동북아의 문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강성대국

  • 김정은 제1위원장 전면에 등장하다

    2012.04.17 by 붉은_달

  •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 분석

    2012.01.30 by 붉은_달

  • [기획③]경제강국 방향을 보여주는 동북, 화동지역 방문

    2011.06.28 by 붉은_달

  • [기획②]세계의 미래를 논의한 북중 전략토론

    2011.06.21 by 붉은_달

김정은 제1위원장 전면에 등장하다

사실 인공위성 발사 실패는 흔히 있는 일이다. 발사에 성공하면 강성국가에 진입하고, 실패하면 진입하지 못한다고 볼 수는 없다. 이런 논리라면 보수언론들이 과연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했을 때 강성국가에 진입했다고 인정했을까? 자체 기술력으로 인공위성과 발사체를 개발했다는 점이 더 중요하며 발사 실패야 앞으로 계속 시도해서 성공하면 되는 문제다. 김정은 제1위원장 전면에 등장하다 동북아의 문 http://namoon.tistory.com 지난 4월 15일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즉 태양절을 맞아 북한은 다양한 일정을 진행하였다. 북한은 수 년 전부터 올해 2012년을 <강성국가의 대문>을 여는 해로 선포했는데 이는 올해가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이기 때문이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이 탄생한 해..

불철주야 2012. 4. 17. 09:00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유훈 분석

[기획]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 보는 2012년 북한 -2 우리사회연구소 세계적 대전환, 대격변의 2012년이 밝았다. 한국의 총선과 대선, 미국과 러시아의 대통령 선거, 중국의 권력교체를 앞둔 2012년의 목전에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급서라는 커다란 정치적 사건을 겪게 되었다. 지금 북한은 2010년 9월 28일의 조선노동당대표자회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지목된 김정은 조선노동당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중심으로 재편을 완료한 듯하다. 2011년 12월 30일, 북한은 조선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열어 김정은 부위원장을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추대하였다. 1월 1일, 김정은 부위원장은 "근위 서울 류경수 105탱크사단"을 현지지도하는 것으로 2012년 북한을 이끌기 시작하였다. 2012년 북한..

토론게시판 2012. 1. 30. 09:00

[기획③]경제강국 방향을 보여주는 동북, 화동지역 방문

북한은 중국에게 경제 개방에 매달리면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투기자본에 농락당하지 말고 북한과의 경제 협력을 통해 새로운 국제경제관계의 모델을 만들어보자고 제안했을 것이다. 북한의 이런 제안에 중국도 동의했기에 중국의 중앙정부가 황금평 개발과 나선경제무역지대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획] 김정일 국방위원장 방중과 북중 전략토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과 북중 정상회담이 끝난 지 보름이 지났다.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귀국한 5월 27일 곧바로 관련 보도를 쏟아놓았으며 이후 중국 방문 기록 영상이 공개되었고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방중 성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방문의 구체적 내용들이 하나 둘씩 세상에 알려지고 있다. 특히 지난 8, 9일 황금평과 라선시에서..

불철주야 2011. 6. 28. 09:04

[기획②]세계의 미래를 논의한 북중 전략토론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과 북중 정상회담이 끝난 지 보름이 지났다.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귀국한 5월 27일 곧바로 관련 보도를 쏟아놓았으며 이후 중국 방문 기록 영상이 공개되었고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통해 방중 성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방문의 구체적 내용들이 하나 둘씩 세상에 알려지고 있다. 특히 지난 8, 9일 황금평과 라선시에서 북중 경제특구 공동개발 착공식을 연달아 진행하여 북중 정상회담 성과를 빠른 속도로 가시화하고 있다. 또한 정상회담 로비사건과 연이은 남북관계의 충격도 북중 정상회담과 무관하지 않다는 게 정설이다. 은 이번 북중 정상회담이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여 집중 기획글을 연재한다. 한반도는 물론 세계 질서에도 강한 영향을 줄 이번 중국 방문에 대해 많..

불철주야 2011. 6. 21. 10:0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동북아의 문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