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2월 19일 한국의 대통령선거를 마지막으로 한반도와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리더십에는 일대 변화가 있었다. 한국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며 박정희 정권 시절 공화당으로부터 뿌리를 찾을 수 있는 새누리당의 대표인 박근혜 씨가 제18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으며 북한에서는 2011년 12월 17일 급사한 김정일 위원장의 뒤를 이어 그의 셋째아들인 김정은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권력을 승계하였다. 중국은 제5세대 지도자라고 불리는 시진핑(習近平)이 2012년 11월 15일 중국공산당 제18기 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총서기에 선출되었다.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11월 6일 열린 대통령 선거에서 미트 롬니 공화당 후보를 물리침으로써 재선에 성공하였고 일본에서는 야당인 자민당이 2012년 12월 16일 열린 중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을 누르고 압승하면서 자민당 총재인 아베신조(安倍晋三)가 제96대 내각총리가 되었다. 2012년은 한반도와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 중 미국만 제외하고 모두 새로운 리더들이 들어선 후 마감되었다. 이에 따른 동북아 국제관계와 정세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 특히 한반도에 생길 수 있는 변화가 우리의 주 관심사이다.
▲ 재선에 성공한 미국 오바마 대통령(왼쪽)과 향후 중국 총서기 취임 예정인 시진핑(오른쪽)부주석 ⓒAP=연합뉴스 |
▲ 북한 영변 핵실험 장소의 위성사진. ⓒAP=연합뉴스 |
* 출처 : 프레시안
'조국통일대전' 연습하는 전략로케트군 (0) | 2013.01.25 |
---|---|
관권으로 얼룩진 한국 선거 (0) | 2013.01.24 |
박근혜 새누리당 정권 몰락의 필연성 (0) | 2013.01.23 |
불안과 위험 안고 출범하는 박근혜 정권 (0) | 2013.01.16 |
한국 대선 투개표의 공정성 확립 필요성 (0) | 2013.01.14 |
심상치 않은 변화조짐 보이는 한반도 정세 (0) | 2013.01.08 |
합법정당운동의 포로된 진보진영 (0) | 2012.12.26 |
안보리 대북 제재, '3차 핵실험' 유발할 수도 (0) | 2012.12.18 |
은하 3호의 재등장과 미국의 대북밀사파견 (0) | 2012.12.17 |
북한 주민생활의 천지개벽에 주목하자 (1) | 2012.12.16 |